행운이와 오복이
큰곰자리 37

행운이와 오복이

글쓴이
김중미
그린이
한지선
출간일
2018년 01월 29일
형태
152×210㎜ , 반양장 , 256쪽
가격
12,000원
ISBN
979-11-5836-077-1
  • 주제어 행복, 나눔, 더불어 사는 삶
  • 수상 내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도서
    올해의 청소년 교양도서
    창비 어린이 평론 현장에서 뽑은 올해의 책
    화이트레이븐스 선정도서
    소년한국일보 우수어린이문학도서
    아침독서신문 추천도서
    대구 수성구 선정 '수성 인문 도서'
  • 대상 연령 고학년
  • 교과 연계 도덕 4-2-6 함께 꿈꾸는 무지개 세상
    도덕 5-1-2 내 안의 소중한 친구
    국어 6-1-8 인물의 삶을 찾아서

저자 소개

  • 글쓴이 김중미

    인천에서 태어나 1987년 인천 만석동에 ‘기찻길 옆 공부방’을 연 뒤, 지금까지 ‘기찻길 옆 작은 학교’의 큰 이모로 아이들 곁을 지키고 있습니다. 《괭이부리말 아이들》로 창비 ‘좋은 어린이책’ 공모에서 대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쓴 책으로 동화 《종이밥》, 《내 동생 아영이》, 《모여라, 유랑인형극단!》, 《똥바다에 게가 산다》, 그림책 《6번길을 지켜라 뚝딱》, 청소년소설 《조커와 나》, 《모두 깜언》, 《그날, 고양이가 내게로 왔다》, 산문집 《꽃은 많을수록 좋다》 들이 있습니다.  

  • 그린이 한지선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하고영국 킹스턴대학교 일러스트 과정을 수료했습니다지금은 노을이 아름다운 섬 강화도에 살면서 그림으로 어린이만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그림을 그린 책으로 거꾸로 가는 고양이 시계엉덩이가 들썩들썩기호 3번 안석뽕쿵푸 아니고 똥푸》 들이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책으로 나랑 같이 놀래?》 들이 있습니다. 

책 소개




 

《괭이부리말 아이들》 의 작가 김중미가 들려주는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법! 

“내가 너의 행운이, 네가 나의 오복이 되어 주면 행복은 절로 찾아올 거야.”

가난한 나무꾼이 옥황상제한테서 복을 빌려 온 옛이야기 들어 본 적 있니?  

그 복을 독차지하지 않고 남과 나눈 덕분에 다 함께 행복해진 이야기 말이야. 

나는 이름이 행운이지만, 행운이 찾아온 적은 한 번도 없어. 

내 친구 이름은 오복이지만, 오복은커녕 일복조차 없을까 봐 걱정이래.

그런데 말이야, 우리가 서로 기대 살다 보니 절로 알게 된 사실이 하나 있어. 

복은 하늘에서 내려주는 게 절대로 아니라는 사실. 

복은 말이야, 사람과 사람이 서로 기대고 나눌 때 생겨나는 거더라.

그럴 때 진짜 행복이 찾아오는 거더라. 내 말이 거짓말 같니?

 

너는 지금 행복하니? 네 행복은 안전하니? 

《행운이와 오복이》는 김중미 작가가 오랜만에 선보이는 장편 동화이자, 소외된 아이들에게 향해 있던 시선을 스스로 안전지대에서 머물러 있다고 믿는 아이들에게로 넓힌 작품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아이들에게 너는 지금 행복하냐고, 네 행복에는 정말 아무 문제가 없느냐고 진지하게 물어 온다. 

5학년 행운이는 중산층 가정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살아왔다. 하지만 은행원이던 아빠가 정리 해고를 당한 뒤, 행운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다. 아빠가 가게를 여는 족족 실패하면서 부모님 사이가 멀어지더니 기어이 별거에 들어간 탓이다. 언제나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쉼 없이 달려왔던 엄마는 별거에 앞서 행운 남매에게 누구와 살지 정하라고 한다. 동생 행복이는 냉큼 엄마를 따라가겠다지만, 행운이는 그럴 수가 없다. 요리도, 세탁도, 청소도, 그 무엇도 제대로 할 줄 모르는 아빠를 남겨 두고 떠날 수가 없는 까닭이다. 엄마가 행복이를 데리고 강남의 좋은 학군을 찾아 떠난 뒤, 행운이는 아빠를 따라 오복이네 동네로 이사를 한다. 학부모들이 이웃 학교로 치워 버리고 싶어 하는 가난한 아이들, 반 아이들이 상대도 하기 싫어하는 지질한 아이들이 사는 동네로 말이다.

행운이네의 ‘몰락’은 낯선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얼마나 많은 제과점이, 커피숍이, 편의점이, 치킨집이 생겨났다 사라지는지를 생각해 보면 말이다. 그 현상 뒤에는 지금의 삶보다 나은 삶을 바라며, 아니 지금보다 못한 삶을 살지 않으려고, 아이들은 자신보다 더 나은 삶을 살게 하려고 쉼 없이 달려온 ‘보통 사람’들이 있다. 

행운이 엄마도 그런 보통 사람 중 하나다. 중산층 가정에서 자라 그보다 못한 삶을 상상해 본 적도 없는 사람, 아이들이 자신보다 나은 삶을 살 방법은 공부밖에 없다고 믿는 사람, 아이들을 잘 가르치기 위해 위험한 선택도 마다 않는 사람……. 반면 행운이 아빠는 저소득층 가정에서 자라 스스로의 힘으로 중산층까지 올라온 사람이다. 하지만 자신이 옳다고 믿는 바를 지키며 살려다 보니 지금의 상황까지 떠밀려 왔다. 행운이네의 몰락은 보통 사람도 착한 사람도 별 탈 없이 살기 힘들어진 지금의 현실을 가감 없이 보여 준다. 한 발만 삐끗해도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 이 위태로운 현실을 바꿀 방법은 정말 없는 걸까? 작가는 이 어려운 질문에 긴 세월 ‘기찻길 옆 작은 학교’의 큰이모로 살아오며 찾은 ‘정답’을 차분히 들려준다. 

     

조금은 불편하지만 감당해 볼 만한 행복

행운이는 새로 이사 온 동네에서 1학년 때부터 3학년까지 껌딱지처럼 따라 다니던 오복이와 다시 마주한다. 할머니와 단둘이 사는 자란 오복이는 1학년 때 교실에서 오줌을 싼 뒤로 ‘전따(전교 왕따)’가 된다. 착하고 바른 아빠 밑에서 자란 탓에 오복이를 외면할 수 없었던 행운이는 3년 내내 오복이의 뒤치다꺼리를 해 왔다. 4학년이 되어 반이 갈라지면서 그 노릇에서 해방되나 싶었는데, 5학년이 되면서 다시 같은 반이 되었다. 그런데 이젠 그것도 모자라 오복이네와 이웃해서 살게 된 것이다. 

행운이는 “너희 망했어?” 하고 거침없이 묻는 오복이를 보며 꼬부장했던 마음이 스르르 풀어지고 만다. 그 질문이 단짝 친구 병일이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비밀의 무게를 한 방에 날려 버린 까닭이다. “응, 우리 아빠 망했어. 울 엄마 아빠가 따로 살게 돼서, 나는 아빠 따라 왔어.”라는 대답에 덤덤히 고개를 끄덕이는 것도 마음에 든다. 그러다 보니 학교 운영 위원장 아들인 한결이가 오복이를 집요하게 괴롭히는 꼴을 그냥 보아 넘기기가 점점 힘들어진다. 

행운이는 한결이에게서 오복이를 지켜 내며, 오복이 할머니가 해 주는 음식에 맛을 들이며, 오복이와 친형제처럼 지내는 장애인 청년 기수, 익수와 가까이 지내며 함께 살아가는 맛을 알아 간다. 그러던 중 오복이 할머니가 요양 병원으로 가게 되면서 행운이와 오복이는 이웃을 넘어 가족으로 거듭난다. 사고로 부모를 잃은 이웃 아이를 여동생으로 맞아 함께 살아온 행운이 아빠가 자신의 부모가 그랬듯 오복이를 아들로 맞아들인 것이다. 

오복이와 함께 살아가는 일은 마냥 좋지만은 않다. 잘 씻지도 않고, 숙제나 공부는 으레 안 하는 거로 알고, 드라마란 드라마는 다 챙겨 보고, 그러느라 지각을 일삼는 오복이 때문에 행운이의 생활도 알게 모르게 흐트러진다. 하지만 같이 있어서 불편한 것보다 좋은 것이 조금 더 많기에 함께 살아 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작가는 더불어 살아가는 일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적지 않는 불편과 희생이 따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그 불편과 희생을 기꺼이 감당하고 싶지 않은 가족에게 적지 않는 부담과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까지 숨김없이 드러낸다. 그럼에도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행복은 어디에 깃드나?

행운이 주변의 어른들은 걸핏하면 복 타령에 팔자타령이다. 내가 박복해서라며 자책하거나 네게 박복해서라며 상대를 탓한다. 내 팔자가 사나워서 자식들 팔자도 사납다고 한탄하고, 네 팔자가 사나워서 내 팔자까지 꼬였다고 상대를 비난한다. 행운이는 그 복 타령, 팔자타령 지긋지긋하면서도 정말 사람마다 정해진 복, 정해진 팔자가 있는지 궁금하다. 그러던 중 꿈인지 생시인지 모르게 저승에 가서 옥황상제에게 답을 듣고 온다. 옥황상제는 단호하게 ‘그런 건 없다’며 고개를 가로젓는다. 인간이 받는 복이라는 것은 하늘에 쌓은 공덕이며, 남을 위해 한 일이 제 복이 되어 돌아온다면서 말이다. 복은 근사한 모습으로 찾아오지 않기에 알아보기 쉽지 않지만, 그 복을 알아보고 혼자 누리려 하지 않고 다시 나누면 더 큰 복이 쌓인다고도 한다. 

그러고 보면 행운이 주변에도 옥황상제가 말한 복을 누리며 사는 사람이 적지 않다. 행운이 할머니만 해도 친아들인 행운이 아빠보다 수양딸인 고모를 의지하며 살아간다. 오복이 할머니도 멀리 사는 딸보다 가까이 사는 기수와 익수의 도움을 받을 때가 더 많았다. 행운이 아빠는 실직자가 된 기수 형과 함께하면서 일이 점점 잘 풀린다. 행복이 자신도 오복이, 기수 형, 익수 형과 어울리며 예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행복감을 느낄 때가 많다. 삶의 비탈길에 서 있는 사람들이 서로 손을 맞잡으면 서로를 지탱하는 구명줄이 된다는 사실, 그 맞잡은 손 위에 행복이 깃든다는 진실을 이들의 삶을 통해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나는 너의 행운이, 너는 나의 오복이 되어 함께 행복하게!

《행운이와 오복이》는 우리 옛이야기 중 하나인 ‘차복 설화’에서 비롯된 작품이다. 김중미 작가는 지난 2016년 기찻길 옆 작은 학교 정기 공연을 준비하면서 이 옛이야기와 처음 만났다고 한다. 가난한 나무꾼이 하늘에서 아직 태어나지 않은 차복이의 복을 빌려 왔다가 나중에 차복이 가족을 만나 그 복을 함께 나누며 살아간다는 이 옛이야기는 지금껏 작가가 살아온 삶과 별반 다르지 않다. 기찻길 옆 공부방을 만들고 아이들을 돌보면서 첫 책 《괭이부리말 아이들》을 쓰게 되었고, 작가가 되어 얻은 크고 작은 것들을 다시 아이들과 나누며 살아오고 있으니 말이다. 

‘차복 설화’는 옛날 아이 무복이 이야기로 거듭나 무대에 올랐고, 다시 오늘날의 아이 행운이와 오복이 이야기로 거듭나 책이 되었다. 작가는 이 책에 자신에게 가장 아프게 와 닿는 현실의 문제를 가감 없이 담았다. 가파른 비탈에 서서 휘청대는 중산층의 문제, 벼랑 끝까지 내몰린 저소득층의 문제,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장애인 차별 문제……. 어른도 가슴이 묵직해지는 이런 이야기를 아이들 앞에 펼쳐 보이는 것이 과연 괜찮은지를 걱정하는 이가 있다면 이렇게 되묻고 싶다. 아이들에게 우리가 처한 현실을 제대로 들려주고 자신의 삶에서 건져 올린 소박하고도 진실한 해법을 진지하게 제안하는 어른이 한 사람쯤은 있어도 좋지 않겠느냐고. 인형극으로 무대에 오른 무복이 이야기가 공연을 준비한 아이들과 관객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새로운 희망을 안겨 주었듯, 이 책 또한 더 많은 아이들에게 위로와 희망으로 다가가기를 기대해 본다. 

   

작가의 말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다. 4 • 16 참사를 대하는 우리 사회의 이기적이고 미숙한 모습을 보며 참 슬펐다. 2016년 세월호 참사 2주기를 앞두고 무대에 올릴 인형극을 준비하다 〈차복이 이야기〉를 만났다. 나는 가난한 나무꾼이 남의 복을 빌려 다른 사람들을 도우며 함께 사는 이 단순한 이야기가 마음에 들었다. 4 • 16 참사를 내 일처럼 슬퍼하고 고통을 함께 나누었던 착한 사람들이 떠올랐다. 그래서 〈차복이 이야기〉를 인형극으로 만들기로 했다. 작은 학교 식구들은 인형극을 만들면서 따뜻한 위로를 받았다. 다행히 공연장에 온 관객들도 모두 좋아했다. 

나는 아직도 이 세상이 그럭저럭 살 만한 것이 다 착한 사람들 덕분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나도 착하게 살려고 노력한다. 내 것을 나눌 때 아주 작은 욕심이라도 들면, 내가 이만큼 사는 게 다 남들 덕분이라는 걸 떠올린다. 착한 사람이 한 명, 두 명 늘어나면 세상은 지금보다 좀 더 좋아질 것이다. 독자들이 행운이와 오복이의 이야기를 읽고 마음이 따뜻해지면 좋겠다. 그리고 착한 마음이 한 뼘씩 자란다면 더 좋겠다.